
최근 3년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보급한 전기버스 가운데 43.8%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나 세금으로 중국 기업만 살찌우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.
특히 경기도는 전체 전기버스의 61.5%를 중국산으로 채웠고, 인천광역시도 65.2%로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편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.
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소희 의원실이 20일 환경부로부터 받은 ‘지자체별 전기버스 보급실적 및 보조금 현황’ 자료에 따르면,
2022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에 보급된 전기버스 8505대 중 3722대가 중국산으로 전체의 43.8%를 차지했다.

보급대수 기준으로는 경기도가 2300대로 압도적이었고, 서울시(687대), 경남(172대), 인천(167대) 등이 뒤를 이었다. 가장 적게 중국산을 도입한 곳은 광주광역시(2대)였다.
같은 기간 전국 지자체가 전기버스 구매에 지급한 보조금은 총 4414억 원, 이 가운데 중국산 전기버스에만 1624억 원(36.8%)이 지원됐다.
특히 경기도는 전체 보조금 1913억 원 중 983억 원(51.4%), 인천시는 78억 원 중 49억 원(63.3%)을 중국산 도입에 사용했다. 이는 국내 제조사 경쟁력 약화와 국가 산업 자립성 훼손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를 자아낸다.
댓글2
ㅋㅋㅋㅋㅋㅋ
개발기획팀
ㅅㄷㄴㅅ